기업은 우리가 표현한 만큼만 판단&평가 한다
면접관도 사람이기 때문에 면접시간 30분동안 일어나는 상황에서만 평가한다
1) 모든 채용의 시작과 기준 - 역량 3가지
“직무”와 “조직”에 “잘 적응”하고, “적합한 역량”을 갖춘 인재!
<조직과 직무와 관련된> 인성
오버스펙도 뽑지 않는다. → 어차피 나갈거거든
기업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 우수한 사람을 뽑는게 아니라 적합한 사람을 뽑는것
Excellent Person X <<< Right Person O
‘직무 중심 역량’ ⇒ 어떤 직무(특정 일)를 잘 해낼 수 있는 개인의 능력
직무 목표에 대한 ‘성과’를 내기 위해
<지식 기술 태도/사고/재능/적성>을 가지고
[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]
- 기본역량 : 신입사원으로서 “적극적이고 능동적인” 태도?
- 직무역량 :
- 회사와 직무에 대한 깊은 ‘관심&흥미’와 ‘이해도’를 가지고 ‘명확한 직업관’
- 직무에 적합한 “역량”을 가지고 있다.
- 조직역량 : 조직 생활을 잘 한다
면접이란? 이러한 핵심 역량에 대한 사실 확인
[면접관의 마음에 <끌림>이 있는 사람]
자신만의 **캐릭터(컨셉)**을 가지고
구조적이고 논리적인 내용으로
진정성 있게 표현하여
**끌림(공감)**을 이끌어야한다!!
합격은 여러가지 면접 답변들과 태도를 통해
기업이 원하는 즉, 채용 직무와 조직에 적합한
캐릭터(기본역량 + 직무역량 + 조직역량)와 일치 시키느냐?로 결정.
2) 따라하면 합격하는 면접 준비방법
- 기업 및 직무 분석 & 이해 필수
- 채용공고 지원자격, 요구역량과 주요업무 이해
- 산업, 기업, 직무부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(지원동기, 포부,관심)
- 직무와 필요역량에 대한 충분한 이해
- 기업과 직무에 맞는 나만의 역량 키워드 정리
- 면접 유형별 면접답변 준비하기
- 나만의 경험 정리(3~5개)
- 기본면접 질문 & 기출면접 질문 & 입사지원서 기반 질문 답변준비
- 답변 스크립트 만들기 → 모의면접 or 면접코칭
- 사전준비
- 면접장소나 지점, 대리점 등 사전 방문
- 업계 또는 직무 현직자 만남
- 입실
- 문 열고 미소 지으며 입실
- 먼저 면접관 바라보며 목례(15도)하고 자신감 있게 걷기
말을 할때는 상대방의 시선을 먼저 봄.
상대방을 보면서 말을 함.
인사할때 면접관을 보고, “안녕하십니까” → 예의
앉으세요 하면 감사합니다 —> Q. 이런 태도가 좋은가?
눈동자를 찍어줘라. 눈을 피하면 안된다
안그런다 생각하지만 면접관 입장에서는 피하는것
내 말에 신뢰가 떨어진다.
- 일반적인 대화에서는 끝이 흐려짐.
- 자신있는 대화에서는 끝을 올리거나 끝을 명확히 한다.
- 목소리는 평소 대화보다는 조금 크게
- 말은 끝까지 해야한다
- 발음은 정확히 천천히
- 낮은 톤으로 계속 답변하는 것은 금물
성격의 단점에 대해서 얘기하는거 제외하고는
부정적인 표현과 은어&비어는 피해라
자신감 있는 말투로 표현하라
- 끝 말은 살짝 올리거나 같은 톤으로 말하고 짧게 끝낸다
- 다까체(단, 적절히 요조체 활용하기)
→ 2초의 차분함
- 면접관 질문을 간단히 반복 후, 답변하기
- 급한 성격 <<< 차분한 성격
- 면접관의 말을 끝까지 경청하는 느낌
- 꼬리,압박 질문 시 더 필요함
→ 30초의 법칙
- 답변 시간은 30초 이내로 답변하고, 최대 40초를 넘기지 마라
- 자기소개는 임팩트만 보는 것
- 결론부터 두괄식으로(보고식 표현)
- 한번에 모든 설명(배경,과정,결론,적용)을 다 하려고 하지마라
면접관이 궁금해서 질문하게 만들어라!!!!
갈등 해결은 입장 차이다.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것, 입장을 좁혀가려고 의사소통 하는 것.
역량 재정의
- 역량 재정의란? 역량을 자신만의 방식(의미)로 새롭게 표현하는 방식
- 역량의 내재화/체득화 된 인재로 보임(역량에 대한 충분한 이해)
- 사례를 표현하기 위한 목차를 미리 말하는 효과(역량에 대한 구체화)
면접관의 질문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
→ 면접관은 왜 질문할까? 무엇이 알고싶은걸까?
면접관 입장에서 면접관이 듣고 싶은 답변을 하라
→ 면
3) 핵심 면접 질문 답변 방법
- 1분 자기소개
- 주장_Keyword 1.
- 근거_Experience
- 주장의 역량 Keyword를 뒷받침 할 ‘근거를 표현
- 시간을 고려하여 근거는 1~3개로 구성
- 1개의 스토리텔링형
- 2~3개의 역량 나열형 → 답변은 ‘결론→근거’로 표현
- 근거 소재
- 경험 사례 노력 스펙 등
- 단, 상황과 결과만 표현
- 구체적인 과정은 빼고,,,
- 정리_Summary
- a. 주장의 역량 Keyword와 b.근거의 경험을 연결해서
- 지원동기-회사
- 회사에 관심과 열의
- 회사와 회사가 속한 산업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 필요
- 지원동기 소재
- 지원직무의 수행능력을 바탕으로 회사에 어떻게 기여할지 답변
- 지원회사에서 꼭 지원직무를 하고 싶은 이유
- 자신만의 기업을 선택하는 기준, 이유와 근거를 말하라(기회)
-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지원동기
- 소비자 관점에서 이야기 하는 것,
- 기준 없이 회사 장점&강점만 나열하는 것
- 입사후 포부
- 어떤 목표를 가지고 직무를 수행할 것인지 묻는다.(목표지향적 인재)
- 목표의식과 직무와 기업에 대한 관심도 파악
- 비즈니스 관점에서 기업에 기여해야한다.
- 본인 입장에서 자신이 하고 싶다는것을 표현하지 마라
- 배우고싶다 성장하고 싶다 XXXX
- 입사 후 포부소재
- 성격의 장단점
- 지원자의 성격(장단점)이 조직과 직무에 얼마나 적합한지 여부파악
- 자소서에 쓴 내용 외에 장단점 1~2가지는 꼭 더 준비
- 취미와 특기
- 오랜 기간 동안 특정분야에 관심을 가지고
-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
-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
- 마지막 인상을 주는 기회
- 우뇌를 자극하고 감성을 터치하라
- 역량을 재 정리하여 표현 + 역량을 통해 회사에 기여 또는 각오 표현
- 면접에서 이미 답변한 것을 보완, 보충하는 답변
- 질문 내용에 대해서 자신이 노력한 것과 자신의 생각을 먼저 표현한 후, 자신의 생각이나 내용이 맞는지? 또는 다른 내용은 없는지 질문.
- 상사의 부당한 지시를 하면 어떻게 하겠습니까?
- 스스로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태도를 봄.
- 어떤 문제든 당사자와 해결한다.
- 그래도 안되면 회사에서 정해진 절차에 따라서 보고한다.
- 회사가 더 중요하죠 X
- 스스로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태도를 봄.
'데이터 분석 스크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 분석가로 데뷔하기 (0) | 2024.03.16 |
---|---|
기획 - 디자인 스프린트 프로세스 (0) | 2024.03.16 |
A/B 테스트 기초부터 심화까지 (0) | 2024.03.16 |
당근의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(0) | 2024.03.16 |
코멘토의 데이터를 통한 문제해결 방법 (1) | 2024.03.16 |